2013년도 대법원의 사법연감에 따르면 2012년 우리나라의 이혼 부부수는 11만4781건으로 2011년도 11만4707건에 비해 0.7% 증가했고, 그 중에서도 특히 황혼 이혼과 신혼 이혼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.
지난해 전체 이혼 중 결혼 20년차 이상 부부는 26.4%, 4년차 미만 부부의 비율은 24.6%로, 황혼 이혼과 신혼 이혼의 비율의 합이 전체 이혼의 반을 넘은 것이다.
황혼 이혼의 비중은 2006년 19.1%에서 2007년 20.1%로 20%대에 올라섰다. 이후 2008년 23.1%, 2009년 22.8%, 2010년 23.8%, 2011년 24.8%, 2012년 26.4% 등으로 계속해서 증가추세에 있다.
또한, 지난해 전체 이혼 부부 가운데 미성년 자녀가 없는 부부의 비율은 47.1%로 절반에 이르렀다.
(출처: 2013. 10. 20.자 헤럴드경제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자녀양육에 대한 부담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시기에 하는 황혼이혼, 무자녀인 상황에서 하는 신혼이혼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현상은 이혼을 결정함에 있어 자녀가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하겠습니다.